임신성 당뇨란? 진단, 검사, 고위험군 등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성 당뇨란? 진단, 검사, 고위험군 등

by Boutique 2023. 4. 12.
반응형

임신 중인 여성들은 임신성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임신성 당뇨 검사방법, 진단 및 발병 위험 요소 등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임신성-당뇨병-총정리

 

 

 

 

📋 목차
1. 임신성 당뇨
1.1. 정의
1.2. 임신성 당뇨란?
2.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
2.1. 검사방법 및 진단
2.2. 주의사항
3. 원인
3.1. 임신성 당뇨병 고위험군
4. 치료방법

 

 

 

 

 

 

 1. 임신성 당뇨

 

1.1. 정의

임신 중 처음 발견되거나 생긴 당뇨병(당대사장애)

 

 

1.2. 임신성 당뇨란?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란 원래 당뇨가 없던 산모가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임신 중 호르몬과 여러 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당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출산 후 정상 혈당으로 돌아오면서 당뇨병은 사라지지만 임신 당뇨를 앓았던 여성은 나중에 제2형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임신성 당뇨병 진단 산모는 매년 1~2%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은 다음 임신 시 재발 위험이 50% 정도로 높게 추산됩니다. 또한, 임신 중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양수과다증, 임신성 고혈압(임신중독증), 신우신염, 조산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

 

최근 모든 임신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임신 24~28주 사이에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임신성 당뇨병의 고위험군 산모라면 임신 초기부터 당뇨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합니다. 

 

 

2.1. 검사방법 및 진단

임신성 당뇨 진단 검사 방법으로는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며, 진단 방법으로는 1단계 접근법과 2단계 접근법이 있습니다.

 

 

2.1.1. 1단계 접근법

 

✔ 최소 8시간 금식 또는 밤새 공복 후 아침에 75g의 당을 마신 뒤 혈당을 측정합니다.

아래 기준 중 하나 이상 해당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 공복 혈중 포도당 > 92mg/dL
  • 1시간 후 혈중 포도당 > 180mg/dL
  • 2시간 후 혈중 포도당 > 153mg/dL

 

 

2.1.2. 2단계 접근법

 

① 선별검사(50g 경구 당부하 검사)
✔ 검사 시간이나 식사 여부에 관계없이 50g의 당을 섭취하고 1시간 후 혈당을 측정합니다.
혈중 포도당 ≥ 130~140 mg/dL이면 이상 소견이므로 확진 검사를 시행합니다.

 

② 확진/진단검사(100g 경구 당부하 검사)
✔ 최소 8시간 금식 또는 밤새 공복 후 아침에 100g의 당을 마신 뒤 혈당을 측정합니다.

아래 기준 중 두 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 공복 혈중 포도당 ≥ 95mg/dL
  • 1시간 혈중 포도당 ≥ 180mg/dL
  • 2시간 혈중 포도당 ≥ 155mg/dL
  • 3시간 혈중 포도당 ≥ 140mg/dL

 

 

 

 

 

🔎 함께 보면 좋을 글

🔗 당뇨 검사 방법 종류, 방법 총정리

 

당뇨 검사 방법 종류, 방법 총정리 및 올바른 자가혈당측정 방법

이 글에서는 당뇨병 진단과 치료에 꼭 필요한 혈당 검사 종류 및 검사 방법 등에 대해 알려드리며, 당뇨환자들에게 중요한 올바른 자가혈당 측정법도 함께 알려드립니다. 📋 목차 1. 당뇨 검사(

sb12.tistory.com

 

 

 

2.2. 주의사항

당뇨 선별 검사 전 3일 이상은 충분한 식사와 평소의 운동량을 유지한 뒤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임신성 당뇨 고위험군 산모는 임신 초기부터 당뇨 검사를 시행하여야 하고, 혈당이 정상수치라면 임신 24~28주 사이에 재검사를 시행합니다. 또한, 임신 24~28주 선별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왔더라도 임신 32주 이후에 선별검사를 재시행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원인

 

정상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임산부에게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만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못합니다. 그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 모두 주요 원인이 됩니다. 

 

 

 

3.1. 임신성 당뇨병 고위험군

임신 당뇨 발병 위험 요소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고령 산모
당뇨병 가족력
비만 및 과체중
거대아 (4kg 이상) 출산력
다낭성난소 증후군 환자
과거 임신성 당뇨병 진단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흡연자

 

 

 

 

 

 

 

 

 

 4. 치료방법

 

일반적으로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을 우선적으로 시행합니다. 하지만, 식이 요법과 운동 요법으로 혈당을 조절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합니다. 보통 임신 중에는 경구 혈당 강하제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자가 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 수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혈당 측정 결과를 기록하여 의사와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목표 혈당

공복혈당 ≤ 95 mg/dL
식후 1시간 ≤ 140 mg/dL
식후 2시간 ≤ 120 mg/dL

 

 

 

 

 

🔎 함께 보면 좋을 글

🔗 당뇨병 식이요법 총정리 및 식사요령

 

당뇨병 식이요법 총정리 및 식사요령

이번 글에서는 당뇨 환자에게 꼭 필요한 식사 관리의 중요성과 당뇨병 식이요법 관련 정보 및 당뇨병 환자가 섭취해야 할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등 당지수를 낮추는 식사요령 등에 대해 정리해

sb12.tistory.com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여성은 출산 후에도 제2형 당뇨병이 생길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당뇨병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