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아닌 이상 애드센스 광고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을 알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다면 고수익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구글 애드센스 광고 필수 용어들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필수 용어 종류와 설명, 애드센스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 몇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 목차
1. 구글 애드센스 필수 용어
1.1. 페이지뷰
1.2. 노출수
1.3. 클릭수
1.4. CPC
1.5. CTR
1.6. RPM
2. 구글 애드센스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
1. 구글 애드센스 필수 용어
1.1. 페이지뷰
페이지뷰는 말 그대로 내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코드가 들어간 페이지에 몇 명이 들어왔는지 보여주는 수입니다. 더 높은 페이지뷰를 보일수록 많은 사람들이 방문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구글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를 조회할 때마다 집계됩니다. 이 페이지에 게재된 광고 수에 상관없이 페이지뷰 1회로 기록됩니다.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이 글을 이동하면서 2번을 보았다면 2회로 기록되기 때문에 방문자 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1.2. 노출수
방문자가 보는 모든 광고의 노출수를 의미합니다. 노출수는 페이지당 광고의 수라고 이해하시면 되며, 비록 '노출이 높게 발생해도 페이지뷰 자체의 수가 낮으면 수익 또한 낮게 발생한다고 보면 된다'가 핵심입니다. 광고가 달리지 않은 페이지도 있기 때문에 페이지뷰와 노출수는 비례하지는 않습니다.
페이지뷰가 높아져야 노출 수도 높아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블로그 유입 방문자들이 페이지뷰로 연결할 수 있는 포스팅들을 많이 배치해 두는 것이 한층 더 높은 수익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습니다.
1.3. 클릭수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한 숫자입니다. 광고가 송출된 것을 많은 사람이 누를수록 클릭수가 올라갑니다.
1.4. CPC
CPC는 광고 클릭에 대해 광고주가 지불하는 평균 금액입니다. 한 번의 광고 클릭당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방문자가 광고 한 번을 클릭할 때마다 얻는 수익 즉, 광고비를 뜻합니다. 이 CPC가 높다는 것은 광고단가가 높은 광고가 송출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Cost Per Click의 약자로 클릭당비용을 말합니다.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으로, 구글 애드센스 보고서에서의 CPC는 예상 수입을 발생한 클릭수로 나눈 값입니다.
- CPC=광고 클릭 발생 수익 / 클릭 수 (광고 종류에 따라 수익이 달라짐을 유의)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단가가 고단가일 경우에 CPC가 높습니다. 2023.04 현재 '고단가 키워드/주제는 금융, 보험' 으로 검색되며, 키워드 자체 광고단가를 센 것으로 선별하여 포스팅하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만큼 포스팅 자체의 경쟁률도 치열합니다.
1.5. CTR
Click Through Rate의 약자로 클릭률을 말합니다. CTR은 페이지뷰를 클릭수로 나눈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클릭률로 광고를 본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클릭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CTR = 클릭수 / 페이지뷰
1.6. RPM
RPM은 Revenue Per 1000 iMpressions의 약자입니다. 페이지 1000회 노출당 평균 수입으로 광고가 게재된 페이지가 1000회 노출될 때마다 생기는 수익입니다. 흔히 RPM이라고 하면 대부분 Revolutions per minute(분당 회전수)로 자동차의 엔진, 컴퓨터 등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많이 쓰이지만,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그것과 전혀 다릅니다.
페이지 조회 1000회당 평균 수입으로 페이지 조회수를 예상 수입으로 나눈 뒤 1000을 곱한 값입니다.
- 페이지 RPM = ( 예상 수입 / 페이지 조회수 ) * 1000
2. 구글 애드센스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
2.1. 페이지뷰와 노출수은 수익과 직결되지 않습니다.
애드센스는 광고를 보기만 해도 수익이 발생하는 CPM이라는 것도 존재하지만, 결국에는 유입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해 줘야 수익이 발생하는 즉, 광고 클릭당 단가인 CPC 광고가 거의 메인 수익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페이지뷰와 노출수가 많다고 고수익이 창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CTR과 CPC를 어떻게 향상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준비가 애드센스 고수익 창출을 향한 첫 단계입니다.
2.2. 예상수입은 최종 수입이 아닙니다.
우리가 구글 애드센스의 복잡한 용어들에 관심을 갖는 건 결국 그 용어들이 의미하는 바와 관련해서 내 수익은 얼마고, 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가 알고 싶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보이는 예상수입은 최종수입과 같지 않습니다. 예상수입은 말 그대로 최근 발생한 수입을 추정해 매겨지는 금액이라, 어디까지나 추정치 일 뿐이며 구글에서 최종 수입을 지급할 땐 무효클릭, 무효 노출 등 여러 변수들은 제외하고 지급한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댓글